참치 이야기 ①

2025. 2. 27. 21:10물고기 이야기

728x90
 

참치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생선으로, 특히 회로 즐겨지는 고급 어종입니다. 최근에는 자연산뿐만 아니라 양식 참치도 많이 유통되고 있어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. 이번 미니시리즈를 통해 참치의 종류, 생태, 양식과 자연산의 차이, 조리법 등 다양한 정보를 소개하려 합니다.

재밌게 봐주세요! 


참치의 종류와 특징

참치는 크게 참다랑어(Bluefin Tuna), 황다랑어(Yellowfin Tuna), 눈다랑어(Bigeye Tuna), 가다랑어(Skipjack Tuna) 등으로 구분됩니다.

  • 참다랑어(Bluefin Tuna)
    • 가장 고급으로 취급되며, 지방 함량이 높아 풍부한 맛과 부드러운 식감을 자랑합니다.
    • 대형 개체는 3m 이상 자라며, 일본의 고급 스시(오도로, 주도로) 재료로 사용됩니다.
    • 주 서식지: 북태평양, 북대서양, 지중해
참다랑어
  • 눈다랑어(Bigeye Tuna)
    • 참다랑어와 황다랑어의 중간 정도의 지방 함량을 가지며, 다양한 요리에 사용됩니다.
    • 눈이 크고 깊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특징이 있습니다.
    • 주 서식지: 대서양, 태평양, 인도양
눈다랑어
  • 황다랑어(Yellowfin Tuna)
    • 지방 함량이 적어 담백한 맛이 특징이며, 주로 참치 스테이크, 통조림 등에 활용됩니다.
    • 지느러미가 길고 밝은 노란색을 띠어 황다랑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.
    • 주 서식지: 열대, 아열대 해역
황다랑어
  • 가다랑어(Skipjack Tuna)
    • 참치캔의 주요 원료이며, 일본에서는 껍질을 말려 훈연한 가쓰오부시(가다랑어포)로 활용됩니다.
    • 몸집이 작고, 다른 참치보다 성장 속도가 빠릅니다.
    • 주 서식지: 전 세계 열대 해역
가다랑어

참치의 생태와 생태적 특징

참치는 대형 어류로서 넓은 바다를 회유하며 살아가는 생물입니다. 강한 유영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, 대부분 따뜻한 해역에서 서식합니다.

🔹 주요 생태적 특징

고속 유영 능력

  • 참치는 최대 시속 75km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, 강력한 근육과 유선형 몸체 덕분에 빠르게 헤엄칠 수 있습니다.
  • 일부 종(특히 참다랑어)은 장거리 회유를 위해 강력한 순환계와 근육 발달을 보입니다.

끊임없는 유영 (Ram Ventilation 방식)

  • 참치는 헤엄을 멈추면 호흡이 불가능합니다.
  • 램 벤틸레이션(Ram Ventilation) 방식으로 입을 벌리고 계속 헤엄치며 물을 흘려보내 산소를 흡수합니다.

온혈성 어류

  • 대부분의 어류는 냉혈성이지만, 참다랑어는 온혈성에 가까워 스스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  • 덕분에 차가운 바다에서도 활동할 수 있으며, 강한 유영 능력을 유지합니다.

회유성 어종

  • 참치는 **전 세계의 따뜻한 해역을 따라 장거리 이동(회유)**을 합니다.
  • 참다랑어는 북미~일본을 오가며 수천 km를 이동하며, 대서양 참다랑어는 대서양과 지중해를 횡단합니다.

포식자 위치

  • 참치는 해양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로, 정어리, 청어, 오징어, 크릴 등을 주로 섭취합니다.
  • 크기가 큰 개체는 상어와 같은 대형 해양 포식자에게 위협받을 수도 있습니다.

산란과 번식

  • 참치는 고온 해역(열대~아열대 지방)에서 산란합니다.
  • 참다랑어는 5~6월경 일본 근해에서 산란, 황다랑어와 눈다랑어는 연중 따뜻한 지역에서 산란합니다.
  • 한 번에 수백만 개의 알을 낳지만, 생존율은 낮아 매우 적은 수만 성어로 성장합니다.
  • 둥근 보름달이 뜰 때 산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.

어획과 자원 보호 문제

남획 위험

  • 참치는 전 세계적으로 상업적 어획량이 많아,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함.
  • 특히 **참다랑어(Bluefin Tuna)**는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국제적 보호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.

참치 양식 기술 개발

  • 자연산 어획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소비를 위해, 참치 양식이 증가하고 있음.
  • 그러나 기존 양식은 어린 개체(종묘)를 잡아 키우는 방식이 많아, 완전한 해결책이 되지는 않음.
  • 최근에는 완전 양식(부화부터 성장까지 사육) 기술이 개발되어, 참다랑어의 지속가능한 생산이 가능해지고 있음.

국제 보호 노력

  • 국제 참치 보존위원회(ICCAT) 및 여러 국제 기구에서 어획량 제한, 금어기 설정, 보호구역 확대 등의 정책을 시행 중.
  • 일본, 미국, 유럽 등에서는 **친환경 참치 소비(지속가능한 어획 방식으로 잡힌 참치 사용)**를 촉진하는 캠페인이 활발함.
  • MSC(Marine Stewardship Council) 인증 참치 또는 친환경 어획 방식으로 잡힌 참치를 선택하는 것이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음
728x90
반응형